㈜한국탑뉴스 차복원 기자 | 농촌진흥청은 2025년 정부혁신 수립 방향인 ‘소통과 협력’, ‘서비스 향상’, ‘업무 효율화’ 3대 정부혁신 분야에 기반한 정부혁신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농촌진흥청은 국민과 소통하고, 민관 협업으로 농업·농촌 현장의 문제를 빠르게 해결함과 동시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8개 분야 총 22개 세부 과제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소통과 협력 분야에서는 대국민 소통과 현장 의견 수렴을 강화하고, 기관 간 협업·민관 협력을 통해 속도감 있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노지 스마트 기술 융복합 실증모델 확산, 반복 민원 예방을 위한 영농 현장 맞춤형 전문 상담(컨설팅) 등을 실시한다. 또한, 민관 협력 기반 ‘융복합 협업 프로젝트’ 추진,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에너지(고체연료)-환경(소각재 비료)의 선순환 체계 구축 등 다부처 협업도 적극 추진한다.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늘봄학교, 정신건강 전문 인력 등을 대상으로 수요자 맞춤형 치유농업 서비스를 확대한다. 다문화 가정·외국인 거주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지원하고자 식품 성분 정보제공 등 행정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업무 효율화와 관련, 디지털 육종 혁신 플랫폼 구축, 밀 세대단축 육종 기술(스피드브리딩) 고도화 등으로 신품종 개발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도록 업무 공정(프로세스)을 개선하는 데 앞장선다.
아울러 스마트농업 아카데미 운영, 농업 현장 슈퍼컴퓨터 활용 지원 등 조직의 인공지능(AI)·디지털 활용 역량을 강화해 데이터 기반 농업 연구개발 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지난해 정부혁신 왕중왕전 금상(대통령상) 수상, 중앙행정기관 정부혁신평가 우수기관 선정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라며 “올해에도 현장 중심의 소통 강화, 민관 협업에 기반한 첨단기술 융복합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농업과학 기술을 연구·개발해 활기찬 농업·농촌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