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검색창 열기

과기정통부-행안부, 인공 지능·가상융합기술 기반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현장 간담회 개최

대전 유성온천역 내 화재 등을 탐지,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체계 실증현장 방문

 

㈜한국탑뉴스 한민석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월 22일, 행정안전부와 함께 인공 지능과 가상융합기술을 활용해 구축한 재난 안전 체계 실증현장을 점검하고, 지자체 현장으로의 적용·확산 방안을 논의하는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 재난 안전 체계 실증은 ‘인공 지능·가상융합기술(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사업을 통해 ’23년도부터 지원된 것으로, 충북도, 충남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와 함께 지역·수요처 별 특성에 맞춰 인공지능과 가상융합 기술 등을 적용한 재난 대응 체계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형태로 추진됐다.

 

동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행안부는 지난해 6월 재난안전정보 공동이용협의회를 통해 행안부, 고용부, 소방청 등이 보유한 62개의 공공 데이터를 각 지자체에 제공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과제별 공급기업은 인공 지능·가상융합기술 기반 재난안전관리 체계를 개발했으며, 올해는 개발한 체계를 실증하고 고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간담회에서는 지자체, 과제 수행기관 등이 참여해 개발 현황과 실증사례를 공유했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참석자들은 단순히 시스템 체계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고·재난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으며, 기초 지자체까지 시스템이 도입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이 이어지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대전 유성온천역 현장 점검에서는 감지기(센서)와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와 군중 밀집 수준을 실시간 감지하고, 인공 지능 분석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체계를 시연했다. 실제 화재나 군중 밀집 상황이 발생하면, 이 체계는 열 감지기(센서), 연기 농도 감지기(센서) 등을 통해 위험 발생 위치와 규모를 판단하고, 모의실험(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제시한다. 대전광역시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올해 말까지 역사 내에 발광다이오드(LED) 유도등을 설치하여, 이용객에게 대피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체계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황규철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과 가상융합기술을 현장에 적용하여 재난 대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가상융합기술이 재난안전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확산 기반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