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탑뉴스 차복원 기자 |
권향엽 국회의원, 'AI 기본사회와 제조 AI의 만남' 국회 간담회 개최
권향엽 의원, "AI 기본사회 실현으로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앞당겨야" 강조
권향엽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을)이 7월 24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2 간담회의실에서 'AI 기본사회와 제조 AI의 만남'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권향엽 의원실과 AI 기본사회 연구회(대표 김선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공동 주최한 이번 간담회는 산업 주체 간 AI 이해를 넓히고 AI 강국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민문기 팀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이번 간담회에서는 김선우 대표와 KEIT 김성호 본부장이 발제자로 나섰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제조 AI 확산 TF 송영진 부이사관, 국민대학교 이원태 특임교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오성탁 연구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AI 혁신성장과 기본사회'에 대해 발제한 김선우 대표는 "AI 기본사회는 단지 기술 도입이 아니라 복지국가의 디지털 전환을 의미한다"며, "AI 자율제조를 통해 인공노동이 인간노동을 대체함으로써 생산성 확대와 노동시간 단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 산업정책이 보다 임무 지향적으로 패러다임을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AI 자율제조 동향'에 대해 발표한 김성호 본부장은 "제조산업은 현재 생산성이 지체되고 있으며 배터리 사고 등 품질 저조 문제, 점점 다양해지는 소비자 요구, 산업 현장의 안전 등 AI 자율제조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현장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다시 현장에 실증 적용하여 제조산업을 고도화하는 선순환 모델의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향엽 의원은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산업이 AI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은 답보 상태에 놓여 있다"며, "모두가 AI를 누리는 AI 기본사회가 제조산업 혁신을 위한 새로운 성장 전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권향엽 의원은 제22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대통령 후보 직속 기본사회위원회의 기본 AI 디지털통신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권 의원은 김선우 공동위원장을 비롯한 AI·디지털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AI 기본사회를 위한 정책제안서'를 작성해 이재명 후보에게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