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전통 소싸움 폐지 촉구..동물학대와 혈세낭비의 온상 소싸움 폐지!

동물학대 논란 '소싸움', 폐지 촉구 목소리 커져... 국회 국민동의청원 5만 명 돌파

㈜한국탑뉴스 차복원 기자 |

전통 소싸움 폐지 촉구..동물학대와 혈세낭비의 온상 소싸움 폐지!

동물학대 논란 '소싸움', 폐지 촉구 목소리 커져... 국회 국민동의청원 5만 명 돌파

 

▲동물학대에논란에 대해 기자회견하는 손솔의원(사진제공=불탑뉴스취재단)

 

8월 6일 "동물학대와 혈세 낭비의 온상인 소싸움을 즉각 폐지하라는 개선 논의에 즉각 착수 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국회 소통관에서 '동물학대 소싸움 폐지 전국행동'과 국회의원 용혜인, 손솔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법률 폐지에 대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7월 1일 국회 전자청원 시스템에 게시된 '소싸움 전면 금지 및 관련 조례 폐지 요청' 청원이 약 3주 만에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어 소관 상임위원회인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회부된 것을 계기로 마련됐다.

 

▲동물학대에논란에 대해 기자회견하는 정읍녹색당 권대선의원(사진제공=불탑뉴스취재단)

 

참석자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소싸움이 명백한 동물 학대라고 규탄했다. "발로 서로를 밀어붙이고, 상처를 입고, 고통에 비명을 지르는 소들의 싸움이 '축제'로 포장되어 아동과 청소년에게까지 공개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반복되는 고된 훈련과 강제적 조련, 그리고 싸움의 가치를 다하면 도살되는 싸움소들의 불행한 삶은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소싸움 경기장 관리와 대회 운영에 매년 수십억 원의 국민 세금이 투입되는 현실을 꼬집으며 "일부 지자체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소싸움을 확대하려 하지만, 이는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퇴행적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적 공감대 확산하는 "소싸움, 더 이상 존속할 이유 없다“

소싸움 폐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는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영남권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6.4%가 소싸움 예산을 복지나 교육 등 다른 공공 분야에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지난 7월 2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소싸움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불법 도박 정황이 지적되기도 했다. 이에 최휘영 장관 후보자는 "아무리 전통문화라 하더라도 시대 흐름에 따라야 한다"며, 동물에 대한 인식이 과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인정하고 관련 문제 해결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 역시 지난 1월 소싸움에 대한 국가무형유산 지정 가치 조사를 실시하지 않기로 결정하며 '전통'이라는 명분도 힘을 잃었다. 주최 측은 "전통도, 농가 소득이라는 실리도 사라진 지금, 소싸움은 더 이상 존속할 이유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물학대에논란에 대해 기자회견하는 채식평화연대 권빛나리(사진제공=불탑뉴스취재단)

 

참가자들은 5만여 명의 국민 동의를 바탕으로 국회에 강력한 요구를 전달했다. 그들은 소싸움이 동물학대 처벌 대상에서 제외되는 근거인 동물보호법 제10조 예외조항을 즉각 삭제하고, 청도군 상설 소싸움 도박장의 운영 근거가 되는 '전통소싸움경기에 관한 법률' 또한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주최 측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원택, 임호선 의원실을 차례로 방문해 소싸움 폐지 의견서와 국내외 서명 자료를 전달할 것이다.

 

 

프로필 사진
차복원 기자

한국탑뉴스에서 정치부, 사회부를 담당하고 있는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