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탑뉴스 고화랑 기자 |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는 오는 10월 25일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에서 “대전환의 시대, 왜 다시 교사인가(Back to Teachers: Reimagining Education Transformation from the Classroom)”를 주제로 2025 서울국제교육포럼(Seoul International Education Forum, 이하 SIEF 2025)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사회 환경 속에서 교사를 교육개혁의 중심 주체로 다시 세우고, 국제적 논의를 통해 현장 기반의 실천적 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은 기조강연, 특별좌담, 세션별 주제발표와 토론, 해외 각국 교사 인터뷰 등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기조강연에서 앤디 하그리브스(보스턴대학교) 교수는 ‘교직의 미래: 잘못된 제도 안에서 더 잘하려는 노력을 멈추는 방법’을 주제로, 교직의 본질 회복과 교육 시스템 전환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두 번째 기조강연에서 피터 타비치(케냐 케리코 중등학교) 교사는 ‘다시 교사, 현장에서 완성되는 교육 개혁’을 통해 교사 전문성과 공동 책임에 기반한 교실 중심 혁신의 비전을 전한다.
이어지는 특별좌담에서는 ‘교사가 다시 중심에: 협력과 변화로 여는 새로운 교육의 길’을 주제로, 정근식 교육감이 참여해 교사 주도의 교육개혁과 공공성 강화의 방향을 집중 논의한다.
세션 1에서는 장추홍(싱가포르 국립교육원) 학장이 ‘교원의 경력 전반에 걸친 학습 요구 지원’을 주제로, 교원 전문성 성장 모델과 실행 전략을 제시한 뒤, 세션 2에서는 이혁규(청주교육대학교) 교수가 ‘교사의 전문성과 지속적 성장, 그리고 교육공동체의 미래’를 발표하며, 교직의 전문성 재구성과 교육공동체의 새로운 역할을 강조한다.
마지막 순서인 종합토론은 기조강연과 세션 발표에서 제기된 주요 담론을 바탕으로, 서울교육의 정책 방향과 학교 현장의 실천 전략을 제안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럼을 주관한 교육연구정보원 임유원 원장은 “이번 포럼은 교사의 전문성과 실천이 교육혁신의 출발점임을 재확인하는 자리”라며, “교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해 국내의 다양한 문제의식과 실천적 경험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근식 교육감은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는 교육의 공공성과 책무성이 교사·학생·학부모·지역사회가 공동으로 나누는 협력 생태계 구축의 핵심”이며, “이러한 협력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야말로 서울교육이 지향하는 핵심 가치”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