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검색창 열기

경남

진주실크, 100년 숨결을 모아 다시 피어나다

진주시‘진주실크박물관’역사적 개관식 개최

 

㈜한국탑뉴스 송행임 기자 | 대한민국 실크산업의 중심지 진주에서, 100여 년간 이어온 실크의 역사와 기술, 문화와 예술적 가치를 집대성한 ‘진주실크박물관’이 공식 개관했다.

 

진주시는 6일 문산읍 월아산로 994에 위치한 ‘진주실크박물관’ 야외광장에서 개관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개관식에는 조규일 진주시장을 비롯해 시민과 실크산업 종사자, 예술인, 지역 기관·단체 관계자 등 다양한 계층의 인사들이 참석해 진주실크의 100년 역사가 오늘의 문화로 되살아나는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 했다.

 

특히 개관식은 실크산업의 가치와 전통을 계승하면서, 문화와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는 의미를 담아 ▲개회선언 ▲경과보고 ▲유공자 표창 ▲기념사 ▲내빈 축사 ▲실크 매듭풀기 퍼포먼스 ▲박물관 내부 관람 순으로 진행됐다.

 

또한 개관식 이후 열린 ‘진주실크 패션쇼’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며, 진주실크의 품격과 예술적 감각을 무대 위에 화려하게 펼쳐 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개관식에서 조규일 진주시장은 “100년 진주실크의 발자취가 오늘 이 공간을 통해 시민들의 일상 속에서 다시 피어나기를 바란다”며 “전통산업을 넘어 문화와 예술, 미래 창조산업으로 확장되는 ‘실크도시 진주’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10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온 진주실크는 ‘진주실크박물관’의 역사적인 개관을 기점으로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대한민국 실크산업과 문화, 예술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실크 매듭풀기, 미래를 풀어내다

‘진주실크박물관’ 개관식의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 박건우 작가의 작품을 활용한 ‘실크 매듭풀기 퍼포먼스’였다.

 

내빈들이 실크스카프로 매듭지어진 길이 12m의 돌돌 말린 흰색 실크천을 동시에 풀어내자, 대형 실크천이 펼쳐지며 작품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작품이 서서히 드러나자 실크박물관의 개관을 축하하는 상징적인 순간이 연출됐다.

 

매듭이 풀리며 순백의 비단 위에 드러난 박물관의 형상과 ‘대한민국 실크의 중심’이라는 글귀는 오랜 세월 이어온 실크의 전통이 미래로 이어지는 메시지를 담으며,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한 시민은 “부모님 세대에겐 생업이던 실크가 이렇게 멋진 문화로 다시 태어났다는 게 뿌듯하다”면서 “진주실크박물관이 진주의 새로운 자랑이자, 아이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는 공간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 진주실크패션쇼, 예술로 빛나다

개관 기념행사로 열린 ‘진주실크 패션쇼’는 진주실크 특유의 은은한 광택과 감각적인 색채를 현대적인 디자인과 결합해 전통의 품격과 현대적 세련미가 공존하는 무대를 선보여 박수갈채를 받았다.

 

특히 이번 패션쇼는 박물관 외관의 아름다운 영상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실크박물관을 돋보이게 해 관객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각 패션작품은 실크가 단순한 섬유를 넘어 예술적 표현의 매개체이자 진주문화의 상징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줬으며, 관람객들은 ‘비단의 도시 진주’가 지닌 고유한 미학을 새롭게 느끼는 시간이었다. 무엇보다 단순한 축하행사를 넘어 진주실크박물관이 앞으로 예술창작과 문화향유가 공존하는 복합문화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상징적인 무대로 평가됐다.

 

시는 향후 패션·공예·디자인 분야 예술가들과 협업해 실크를 기반으로 한 창의적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한편, 진주실크박물관은 ▲상설·기획전시실을 비롯해 ▲파노라마 영상실 ▲체험교육실 ▲카페·아트숍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열린 문화시설로,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설날, 추석 등 명절에는 휴관한다. 자세한 사항은 진주실크박물관(055-749-5972)으로 문의하면 된다.